첫화면
home
기록
home
📜

2강 - 초기 비평학자들의 종교사 이해 (벨하우젠과 카우프만)

이번 시간에는 이스라엘 종교사의 개념으로 오경의 형성사를 파악하려 했던 벨하우젠과 카우프만의 연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해 보면서, 이스라엘 종교사를 재구성하는 방법론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질문

이스라엘의 종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링크)
어떻게 이스라엘의 역사, 특히 종교사를 재구성해 낼 수 있을까?

오경 형성사에 대한 비평적 관점의 등장

18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근대화, 합리주의, 과학주의 사조
사실로서의 역사(history as a fact)를 중심으로 한 실증주의 역사관의 대두
종교개혁으로 인한 성서 번역 및 탈 교권화
오경에서 발견되는 중복과 모순처럼 보이는 기록들

초기 성서 비평학

헤르만 훕펠트의 문서 배열

벨하우젠의 ‘이스라엘 종교사’ 개념

오경에서 존재한다고 여겨졌던 다수의 문서들의 정체성은 무엇이고 연대기적으로 어떻게 배열될 수 있는가?

벨하우젠의 ‘이스라엘 종교사’

카우프만의 이스라엘식 ‘종교사’ 개념

벨하우젠의 종교사 개념은 결국 유일신 신앙이 후대에 이루어진 것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벨하우젠의 종교사 개념은 반유대적인 측면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카우프만의 ‘이스라엘 종교사’

종교는 발전하는가?

구약에 나타난 종교는 분명 ‘변화의 요소’는 보인다.
신약시대까지 확장하여 보면 구약의 이스라엘 종교와 신약의 기독교, 혹은 동시대의 유대교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기 보다는 성서 본문 내에 언급되어 있는 다양한 종교적 요소들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이를 고고학적 증거와 인근 문화권의 종교와 비교해 봄으로 실제 이스라엘의 종교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