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종교사의 개념에 대해서 생각해 볼 예정입니다. 한 학기 동안 우리는 이스라엘의 종교사에 대해서 공부할 예정입니다. 종교사는 종교가 하나의 형태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한 것임을 전제합니다. 우리는 먼저 종교란 무엇이고, 종교의 변화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수업안내
이스라엘 종교사
•
이스라엘: 사람 + 국가(북이스라엘, 남유다, 예후드 … ).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
종교: 족장들의 종교, 이스라엘 국가 종교(성막/성전), 디아스포라 종교(성전 파괴)
•
역사: 무엇이 변화하지 않고, 무엇이 변화하는가?
종교란 무엇인가?
Religion
宗敎
종교의 본질
인류의 초기 종교
쇼베 동굴(Chauvet Cave)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
이스라엘 박물관
연대기
시대 | 연대(기원전) | 주요 정착민들 | 비고 |
초기 청동기(EBA) I-III | 3300-2300 | 가나안인들 | 가나안 땅에 도시들이 생겨나기 시작(예루살렘) |
초기 청동기(EBA) IV | 2300-2000 | 가나안인들 | 가나안 지역 대부분의 도시들이 파괴 |
중기 청동기(MBA) | 2000-1550 | 가나안인들 | 새롭게 도시화가 시작(성곽) - 예루살렘, 세겜의 발전(족장시대) |
후기 청동기(LBA) | 1550-1200 | 가나안인들 | 가나안땅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력이 강해졌다가 점차 약화됨. 가나안 땅 전반에 걸친 파괴층(애굽의 노예) |
철기시대(IA) I | 1200-1000 | 이스라엘인 | 새로운 정착존의 시작(출애굽, 정복전쟁, 이스라엘의 시작) |
철기시대(IA) IIA | 1000-925 | 이스라엘인 | 다윗/솔로몬 통일왕조 |
철기시대(IA) IIB | 925-720 | 이스라엘/유다 | 북이스라엘/남유다 분열왕국북이스라엘의 멸망 |
철기시대(IA) IIC | 720-586 | 유다 | 유다 왕국유다 왕국의 멸망 |